[뉴스] 복지부, 내달부터 제주 하늘에 8번째 닥터 헬기 뜬다 | 관리자 | 2022-11-29 15:13:47 | 219 |
한라산 국립공원, 마라도 등 제주도 전역 중증 응급환자 신속 이송
한라산 국립공원, 마라도 등 제주도 전역에 중증 응급환자를 신속히 이송할 수 있도록 다음달부터 제주 하늘에 8번째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가 뜬다.
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제주 시민복지타운 광장에서 8번째 닥터헬기 출범식을 개최했다.

앞서 닥터헬기는 지난 2011년 인천ㆍ전남, 2013년 강원ㆍ경북, 2016년 충남ㆍ전북, 2019년 경기도에 도입된 바 있다. 이번에 제주도에 새롭게 배치된 닥터헬기는 다음달 1일부터 본격적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69만명의 도민과 더불어 매년 1000만명 이상 관광객이 찾고 있어 산악사고, 해양사고가 많이 발생하나 제주도 중앙에 한라산이 위치해 응급 의료기관까지 응급환자들을 육상 이송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제주 닥터헬기 출범을 통해 제주도 중증 응급환자들의 신속한 이송ㆍ치료에 괄목할만한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제주 도서ㆍ산간 지역 도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닥터헬기는 제주 권역 거점응급의료센터인 제주한라병원에 배치됐으며 1년 365일 내내 일출부터 일몰까지 운영한다.
구체적인 운영절차를 살펴보면 이송 환자가 발생해 119 상황실 등으로부터 닥터헬기 출동 요청이 접수되면, 의료진과 조종사 등이 협의해 출동 여부를 결정하고, 환자는 헬기에 탑승한 전문의에 의해 응급의료 처치를 받으면서 제주한라병원으로 이송된다.
환자가 닥터헬기에 탑승할 장소인 환자 인계점은 전문가 현장점검을 거쳐 병원, 도서ㆍ산간, 체육관, 학교 운동장 등 도내 36개소를 지정했다.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제주 닥터헬기 출범을 계기로 제주도 중증 응급의료체계가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이라며 “정부는 국민 생명 지킴이로서 닥터헬기의 전국 확대 및 안전한 운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닥터헬기는 의료용 산소 공급장치,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흡입장치, 초음파 등 첨단 의료장비와 전문 의료진(응급의학전문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운항승무원)을 구비하고 있어 환자를 이송하는 동안 헬기 내에서 응급실과 동일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어 ‘날아다니는 응급실’로도 불린다.
지난 2011년 9월 운항을 시작한 닥터헬기는 그 해 76명의 중증 응급환자를 이송한 이래 지난달 말 기준 누적 1만2093명의 환자를 이송했다.
참고로 닥터헬기를 통해 이송한 환자 중 60% 이상은 3대 중증응급환자(중증외상,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였으며 나머지는 호흡곤란, 의식저하, 쇼크, 화상 등 기타 응급질환 환자들이었다.
한라산 국립공원, 마라도 등 제주도 전역에 중증 응급환자를 신속히 이송할 수 있도록 다음달부터 제주 하늘에 8번째 응급의료 전용헬기(닥터헬기)가 뜬다.
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제주 시민복지타운 광장에서 8번째 닥터헬기 출범식을 개최했다.

앞서 닥터헬기는 지난 2011년 인천ㆍ전남, 2013년 강원ㆍ경북, 2016년 충남ㆍ전북, 2019년 경기도에 도입된 바 있다. 이번에 제주도에 새롭게 배치된 닥터헬기는 다음달 1일부터 본격적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
제주도는 69만명의 도민과 더불어 매년 1000만명 이상 관광객이 찾고 있어 산악사고, 해양사고가 많이 발생하나 제주도 중앙에 한라산이 위치해 응급 의료기관까지 응급환자들을 육상 이송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제주 닥터헬기 출범을 통해 제주도 중증 응급환자들의 신속한 이송ㆍ치료에 괄목할만한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특히 제주 도서ㆍ산간 지역 도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 닥터헬기는 제주 권역 거점응급의료센터인 제주한라병원에 배치됐으며 1년 365일 내내 일출부터 일몰까지 운영한다.
구체적인 운영절차를 살펴보면 이송 환자가 발생해 119 상황실 등으로부터 닥터헬기 출동 요청이 접수되면, 의료진과 조종사 등이 협의해 출동 여부를 결정하고, 환자는 헬기에 탑승한 전문의에 의해 응급의료 처치를 받으면서 제주한라병원으로 이송된다.
환자가 닥터헬기에 탑승할 장소인 환자 인계점은 전문가 현장점검을 거쳐 병원, 도서ㆍ산간, 체육관, 학교 운동장 등 도내 36개소를 지정했다.
박향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제주 닥터헬기 출범을 계기로 제주도 중증 응급의료체계가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이라며 “정부는 국민 생명 지킴이로서 닥터헬기의 전국 확대 및 안전한 운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닥터헬기는 의료용 산소 공급장치, 인공호흡기, 제세동기, 흡입장치, 초음파 등 첨단 의료장비와 전문 의료진(응급의학전문의, 간호사, 응급구조사, 운항승무원)을 구비하고 있어 환자를 이송하는 동안 헬기 내에서 응급실과 동일한 응급처치를 시행할 수 있어 ‘날아다니는 응급실’로도 불린다.
지난 2011년 9월 운항을 시작한 닥터헬기는 그 해 76명의 중증 응급환자를 이송한 이래 지난달 말 기준 누적 1만2093명의 환자를 이송했다.
참고로 닥터헬기를 통해 이송한 환자 중 60% 이상은 3대 중증응급환자(중증외상,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였으며 나머지는 호흡곤란, 의식저하, 쇼크, 화상 등 기타 응급질환 환자들이었다.